티스토리 뷰

SMALL


2023학년도 부터 상위대학 신설학과 10개교 18개 1054명 확대


계약학과 5개 180명 일반 13개 874명 수시 567명 정시 487명


2023 입시 취업 연계 계약학과 반도체학과 총 7개교 운영

2023 입시 취업 연계 계약학과 반도체학과 총 7개교 운영 포스텍이 수정된 2023전형계획을 공개하면서 현재까지 발표된 반도체 계약학과 7개교의 2023학년 전형방법이 구체화됐습니다. 기업

how-math.tistory.com

예전에도 포스팅했지만 반도체학과도 성균관대 연세대 고려대 3개교에서 추가되어 총 7개교가 됐습니다.


올해 2023학년 대입에서 상위대학의 신설학과 규모는 10개교 18개 모집단위 1054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15개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기준으로 살핀 결과입니다.

신설학과 가운데 계약학과는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한양대의 4개교가 5개, 일반 모집단위는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숙명여대 이화여대 인하대 한국외대의 7개교가 13개를 신설했습니다.

상위 15개교 신설학과 수시, 정시 모집인원


모집인원은 수시와 정시를 합쳐 총 1054명으로 계약학과 180명, 일반 모집단위 874명입니다.

수시에서는 계약학과 112명, 일반 모집단위 455명으로 총 567명을 모집합니다.

정시에서는 계약학과 68명, 일반 모집단위 419명으로 총 487명을 모집합니다.

계약학과는 정원외로 선발하는 특성이 있어, 일반 모집단위에서도 정원내외 모집인원을 모두 포함해 반영했습니다.

2023전형계획과 2023수시요강에서 정시 모집인원이 공지되지 않은 숙명여대와 한국외대는 각 입학처에 정시 인원을 확인해 반영했습니다. 지난해 2022학년에 8개교가 15개 모집단위를 신설해 수시/정시 총 748명을 모집한 것보다 모집단위가 3개 증가하고 인원이 306명 증가했습니다. 지난해에는 약학부의 학부전환으로 인해 약학계열 모집단위가 8개로 과반을 차지했지만, 올해는 ‘계약학과 열풍’이 두드러집니다.

신설학과 기업이 참여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열풍

기업이 참여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는 올해 반도체를 중심으로 5개 모집단위가 신설됐습니다.

특히 고려대는 스마트모빌리티학부(현대차) 차세대통신학과(삼성전자)의 2개로 신설 계약학과가 가장 많은 학교입니다.

현대차 고려대 계약학과 미래차 스마트모빌리티 학부 설립 (학석사 통합 5년 과정)

현대차 고려대 계약학과 미래차 스마트모빌리티 학부 설립 (학석사 통합 5년 과정) 저번에 포스팅 했던 고...

blog.naver.com



모집인원은 스마트모빌리티학부 50명(수시 30명/정시 20명), 차세대통신학과 30명(18명/12명)입니다.

서강대와 한양대는 올해부터 각 SK하이닉스와 손잡고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합니다. 모집인원은 한양대 40명(24명/16명), 서강대 30명(20명/10명)입니다. 연세대는 LG디스플레이와의 계약학과인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를 신설해 30명(20명/10명)을 모집합니다. 전체적으로 ‘채용 보장’이라는 이점과 탄탄한 장학금 지원 등으로 높은 선호도가 높습니다.




2023학년도 입시부터 상위 15개교 일반 모집단위 신설학과

일반 모집단위도 13개가 신설됐습니다.

숙명여대는 기존에 있던 ICT융합공학부와 소프트웨어학부를 개편하면서 5개 모집단위를 신설했고 모집인원은 총 260명입니다. 세부적으로 인공지능공학부 70명(42명/28명), 컴퓨터과학전공 60명(36명/24명), 지능형전자시스템전공 50명(28명/22명), 신소재물리전공 40명(22명/18명), 데이터사이언스전공 40명(21명/19명)입니다.

동국대는 기존에 있던 컴퓨터공학전공 멀티미디어공학전공 AI융합학부 3개 모집단위를 하나로 합친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를 신설했습니다. 모집인원은 223명(128명/95명)입니다. 예체능계열인 한국음악과도 신설해 수시 실기실적전형으로 15명을 모집합니다.

한국외대는 글로벌캠(용인)에 글로벌자유전공학부(인문/자연)를 신설했습니다. 모집인원은 210명으로 인문 116명(63명/53명), 자연 94명(54명/40명)입니다. 한국외대는 서울캠과 글로벌캠을 통합한 통합캠퍼스로, 글로벌캠이 분교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캠퍼스로 봅니다.

인하대는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해 70명을 모집합니다. 타 신설학과들과 달리 정시로만 모집합니다.

이화여대는 데이터사이언스학과를 신설해 40명(10명/30명)을 모집합니다. 수시보다 정시의 비중이 더 높은 점이 특징입니다. 서강대는 인공지능학과를 신설해 28명(18명/10명)을 모집합니다.

서울대는 한국사학/동양사학/서학사학전공을 합친 역사학부를 신설하고 28명(18명/10명)을 모집합니다. 정시 모집인원과 반영방법의 경우 2023전형계획과 2023수시요강에 명시된 사항들을 기반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확정 사안은 9월 초 공개될 정시 모집요강을 참고해야 합니다.

2023신설 계약학과정리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한양대 4개교, 5개 180명 모집
2023학년 신설된 계약학과는 모두 5개입니다. 고려대 서강대 연대 한대의 4개교가 운영합니다. 5개 모집단위 중 고대가 2개, 서강대 연대 한대의 3개교가 각 1개입니다. 수시/정시를 포함한 전체 모집인원은 180명입니다.

계약학과 모집인원이 많은 순으로 살펴보면 고려대 스마트모빌리티학부 50명(수시 30명/정시 20명), 한양대 반도체공학과 40명(24명/16명), 고려대 차세대통신학과 30명(18명/12명),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30명(20명/10명), 연세대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30명(20명/10명)입니다.



고려대의 스마트모빌리티학부와 차세대통신학과는 각각 현대차 삼성전자와의 계약학과입니다. 이전부터 운영되던 계약학과인 사이버국방학과(국방부) 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까지 더하면 학부에서 운영되는 계약학과는 전체 4개로 늘어납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