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2 정시 서울대학교 최초합 결과 발표
2022학년 서울대 정시 최초 합격자 중 삼수 이상 N수생의 비중이 급증했습니다. 20.5%로 지난해 16.6%보다 늘었습니다. 고3 재학생의 비중은 38.4%로 지난해 37.1%보다 늘었지만 N수생 비중 58.5%보다 적습니다. 서울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 서울대 정시모집 선발결과’를 3일 발표했습니다.
정시 최초 합격자 중 일반고 출신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학년 이후 감소세입니다. 2019학년 60.8%, 2020학년 59.9%, 2021학년 57.3%, 2022학년 56.1% 순입니다. 고교유형별로 일반고(자공고 포함) 자사고 영재학교 국제고의 비중은 줄었지만 과고 외고의 비중은 늘었습니다.
올해도 N수생이 강세입니다. 서울대 정시 최초 합격자 중 재수 이상의 N수생 합격 비중은 58.5%로 지난해 58.8%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서울대가 졸업연도별 현황을 공개한 2014학년 이래 지난해 최고 수치를 기록한 이후 비슷한 규모를 잇고 있습니다. N수생은 2014학년 52.9%를 차지한 이후, 2015학년 45.5%, 2016학년 48.4%, 2017학년 46.4% 순으로 재학생 대비 약세였지만, 2018학년부터 재학생 비율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2017학년 46.4%(451명), 2018학년 55%(477명), 2019학년 55.4%(504명), 2020학년 58.8%(510명), 2021학년 58.8%(472명), 2022학년 58.5%(641명) 순 입니다. 올해 N수생 합격자 641명 중 재수생은 417명(38.1%), 삼수 이상은 224명(20.5%)으로 삼수 이상인 수험생의 비중이 20%를 넘어서 2014학년 이후 최대치입니다.
고3 재학생의 비중은 2021학년 37.1%에서 2022학년 38.4%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4.1%로 2014학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검정고시 출신은 3%로 줄었습니다. 지난해보다 줄어들기는 했지만 2019학년 1.4%에서 2020학년 3.5%로 확대된 이후 3% 이상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재수생 강세는 향후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서울대 정시 비중이 정원내 기준 올해 30.3%에서 내년 39.9%까지 더 확대되기 때문입니다. 약대 학부선발로 인한 N수생의 유입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대 최초 합격자의 등록 기간은 9일 오전9시부터 11일 오후4시까지 입니다. 미등록 인원이 발생할 경우 14일 17일 20일, 총 세 차례에 걸쳐 충원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올해 서울대 정시 최초 합격자 배출 고교는 지난해보다 47개교 증가한 347개교다. 2020학년 317개교에서 2021학년 300개교로 줄었다가 다시 큰 폭으로 반등했습니다. 고른기회 성격의 전형인 정원외 기균Ⅰ이 신설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합격자 출신 지역별로 살펴보면 올해도 서울 비중이 두드러진다. 2020학년 45.9%에서 2021학년 45.5%, 2022학년 44.4%로 최근 들어 줄어드는 추세지만 여전히 비중이 큽니다. 2014학년 44.1%, 2015학년 41.1%, 2016학년 41%, 2017학년 38.3% 순으로 줄다가 2018학년 42%, 2019학년 42.2%, 2020학년 45.9%로 확대됐으나 2021학년 다시 45.5%로 소폭 줄었습니다.
서울 다음으로 비중이 큰 시의 경우 2021학년 39.7%에서 2022학년 39.2%로 비중이 줄었습니다. 2014학년 36.9%, 2015학년 38.9%, 2016학년 37.4%, 2017학년 41% 순으로 늘다가, 2018학년 40.1%, 2019학년 40.3%, 2020학년 38.7%, 2021학년 39.7%, 2022학년 39.2%로 증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광역시는 늘었는데 2021학년 11.7%에서 2022학년 13.2%로 증가했습니다. 2014학년 15.9%, 2015학년 16%, 2016학년 18.5% 순으로 증가하다 2017학년 16.5%, 2018학년 12.4%, 2019학년 13.9%, 2020학년 12.7%, 2021학년 11.7% 순으로 전반적인 감소세였지만 다시 반등했습니다.
군은 2014학년 3.1%, 2015학년 3.9%, 2016학년 3%, 2017학년 4.2%, 2018학년 5.5%, 2019학년 3.6%, 2020학년 2.7% 순으로 감소세였다가 2021학년 3.1%, 2022학년 3.2%로 증가했습니다.
올해 수시/정시 합산 결과 남학생 강세가 더 심해졌다. 2021학년 59.4%에서 2022학년 63%로 남학생 비중이 늘어났다. 수시에서는 남학생 합격 비중이 55.7%였던 것과 비교하면 남학생 강세가 더 뚜렷해졌다. 서울대가 별도의 정시 성별 합격결과는 발표하지 않았지만 남학생이 정시에서 강세인 점은 올해도 여전했던 셈이다.
고교유형으로 분석하면, 일반고 실적이 올해도 줄었습니다. 일반고 비중은 2016학년 50.8%(471명), 2017학년 54.8%(532명), 2018학년 59.4%(515명) 순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다가, 2019학년 60.8%(553명), 2020학년 59.9%(519명), 2021학년 57.3%(460명), 2022학년 56.1%(614명) 순으로 3년연속 감소했습니다.
일반고 실적엔 자공고를 포함했습니다. 자공고는 법적으로는 자사고와 더불어 자율고로 분류되지만 성격상 일반고와 별다른 차이가 없습니다. 자공고는 교사 초빙권, 공모교장제 적용, 소폭의 예산지원 등의 차이가 있지만 지역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고 특히 서울의 경우 예산지원에서 별다른 이익이 없는 데다 취약지역 일반고가 대다수 전환된 탓에 자공고는 통상 일반고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비중이 증가한 고교유형은 과고 외고입니다. 과고는 2021학년 1.4%(11명)에서 2022학년 2.6%(28명)로 증가했고, 외고는 2021학년 3.1%(25명)에서 2022학년 3.9%(43명)로 증가했습니다.
자사고 영재학교 국제고는 비중이 줄었습니다. 자사고는 2021학년 26.2%(210명)에서 2022학년 25.4%(278명)로, 영재학교는 2021학년 3.1%(25명)에서 2022학년 2.5%(27명), 국제고는 2021학년 1.7%(14명)에서 2022학년 1.4%(15명)로 줄었습니다.
예고/체고의 상승폭이 큰 편입니다. 2021학년 1.7%(14명)에서 2022학년 3.7%(40명)로 비중이 늘었다. 특성화고 출신은 2021학년 1%(8명)에서 2022학년 1.1%(12명)로, 기타(해외고 등)는 2021학년 0.4%(3명)에서 2022학년 0.5%(5명)로 비중이 비슷합니다.
올해 서울대 합격자 중 여학생 비율이 최근 10년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2022 서울대 수시/정시 최초 합격자 기준, 여학생 비율이 37%로 2013학년 이후 가장 낮습니다. 2021학년과 비교하면 3.6%p 줄었습니다. 2013학년 이후 여학생 비율을 살펴보면 2013학년 38.1%, 2014학년 41%, 2015학년 39.9%, 2016학년 41.1%, 2017학년 41.8%, 2018학년 40.9%, 2019학년 39.4%, 2020학년 40.1%, 2021학년 40.6%, 2022학년 37%입니다.
4년제대 전체로 범위를 넓혀 보면 지난해 등록자 기준 4년제대 신입생의 성비는 남학생 51.3%, 여학생 48.7%로 전년 남학생 50.8%, 여학생 49.2%와 비교해 남학생은 0.5%p 증가하고 여학생은 0.5%p 감소했다. 여학생 비율은 2016학년 이래 최저치입니다. 2016학년 49.7%, 2017학년 49.5%, 2018학년 49.8%, 2019학년 49.3%, 2020학년 49.2%. 2021학년 48.7%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