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대 과기원 반도체계약학과 신설 가능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본격적인 반도체 핵심 인력양성에 나섭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산업계 대표, 과학기술원 총장은 30일 KAIST에서 간담회를 개최하고 KAIST 지스트 DGIST UNIST 등 4개 과기원의 반도체 계약학과 확대를 논의했습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스트 DGIST UNIST 3개교가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하며 KAIST 포함 4개 과기원에서 산업계와 함께 학사급 반도체 인력 양성을 추진합니다. 일반 사립대보다는 이공계특성화대학인 과기대에 반도체 공학과를 두는 것이 훨씬 좋아보입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향후 산학연 협력 강화를 통한 반도체 핵심 인력양성을 추진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시스템 반도체 설계 실무인력(학사급) 양성사업과 인공지능(AI)반도체 고급인재 양성(석박사급) 사업을 신규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과학기술원도 2023년부터 연 200명 이상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단 이미 2023 모집요강이 공개돼 과기원의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은 2024학년부터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카이스트는 100명 모집을 시작 했고 지스트 20명, DGIST 50명, UNIST 30명의 규모입니다.


현재 운영하거나 신설된 반도체학과 7개교.




과기원은 반도체공학 대학원 신설도 검토 중입니다. 지스트와 DGIST는 당장 올해부터 반도체대학원 또는 반도체 전공 설치를 검토하고있다는 설명입니다. KAIST와 UNIST는 이미 산학협력 대학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이를 확대하는 형식으로 석박사 과정의 반도체학과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과기원은 이를 통해 연간 220명 수준의 석박사 인력배출을 향후 5년 내 500명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설명입니다.

교육부도 상위대학의 개별 반도체계약학과 확대 움직임과는 별개로 일반대 계약학과 확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원래 계약학과 취지가 기업과 대학이 개별 계약을 맺고 원하는 교육과정을 만드는 형태라 교육부가 따로 특정 분야에서 나서진 않았다. 하지만 현장에서 반도체 인력이 부족하다는 의견들이 많아 설치할 수 있는 권역과 학생 정원을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방식으로 정책지원을 준비중이다. 채용조건형은 권역 제한이 없지만 재교육형은 제한이 있어 이를 어떻게 완화할 것인지 검토가 진행중이다"고 말했습니다.




KAIST 지스트 DGIST UNIST 총장을 비롯해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삼성전자/SK하이닉스/DB하이텍/네메시스 사장,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 등 10명은 KAIST에서 반도체 핵심 인력 양성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간담회에 따르면 과기원은 2023년부터 연 200명 이상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3학년부터 100명을 모집하는 KAIST를 포함해 지스트 20명, DGIST 50명, UNIST 30명 등 총 200명의 규모입니다. 단 이미 2023 모집요강이 공개된 상황이어서 계약학과 신설은 2024학년부터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공계특성화대학의 반도체 계약학과는 올해 KAIST 100명 포스텍 40명에 이어 2024부터 지스트 20명, DGIST 50명, UNIST 30명이 합류하면서 5개교 240명 체제가 됩니다. KAIST를 제외한 과기원 3개교의 입학처는 ‘아직 전달받은 사항이 없으며 논의되고 있는 단계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4개 과기원은 학사과정의 계약학과신설 보다 대학원 신설이 먼저 이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부는 요강이 공개된 시점이어서 신설 시점이 내년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지만 대학원은 올해부터 곧바로 신설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석박사급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현재 KAIST와 UNIST는 운영 중인 산학협력 대학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KAIST는 현재 반도체 프로그램으로 KEPSI(SK 하이닉스 협력)과 EPSS(삼성전자 협력)를 운영하고 있으며 UNIST는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을 2021학년부터 연간 35명씩 모집해오고 있습니다. 지스트 DGIST도 반도체대학원 또는 반도체 전공 설치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통해 연간 220명 수준의 석박사 인력배출을 향후 5년 내 500명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설명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