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MALL

미국 뉴스위크 세계병원순위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Newsweek)가 최근 공개한 ‘2022 세계병원 순위(World’s Best Hospitals 2022)’에서 울산대 의대 협력병원인 서울아산병원이 올해도 국내 최고 병원으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어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 서울대병원(서울대) 신촌세브란스병원(연세대)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가톨릭대) 분당서울대병원(서울대) 아주대병원(아주대) 고려대안암병원(고려대) 강남세브란스병원(연세대) 중앙대병원(중앙대) 순으로 톱10입니다.

서울아산병원은 2019년 뉴스위크가 세계병원순위를 공개한 이래 4년째 국내1위를 유지했습니다. 지난해 3위였던 삼성서울병원이 2위로 올라서면서 지난해 2위였던 서울대병원과 순위가 뒤바뀌었습니다.

2019, 2020년엔 올해와 동일하게 삼성서울병원이 2위, 서울대병원이 3위였던 점을 감안하면 서울아산병원이 1위를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서울병원과 서울대병원이 치열한 2위 싸움을 하는 양상입니다. 지난해 6위였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은 올해 5위로 올라서면서 지난해 5위였던 분당서울대병원과 순위를 바꾸었습니다. 서울대 대학병원 두 곳의 순위가 한 칸씩 떨어진 셈입니다. 지난해 8위 아주대병원도 7위로 올라서면서 고려대안암병원과 올해 순위를 바꾸었습니다. 지난해 10위었던 강남세브란스병원이 한 계단 올라선 9위를 차지했고 지난해 11위였던 중앙대병원이 올해 10위로 톱10에 들었습니다. 지난해 9위었던 경희대병원은 올해 18위로 톱10 밖으로 밀려났습니다.

세계순위를 살펴보면 서울아산 삼성서울 서울대 신촌세브란스 가톨릭대서울성모 분당서울대 아주대 고려대안암의 8개 병원이 톱130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뉴스위크는 올해 250위까지 세계순위를 공개했습니다. 랭크된 우리나라의 병원은 16개입니다. 특히 서울아산 삼성서울 신촌세브란스 가톨릭대서울성모 등 4개 병원은 지난해보다 순위가 상승했습니다.

국내순위를 살펴보면 70위까지는 대학병원의 영향력이 절대적입니다. 국내순위는 132위까지 공개됐습니다. 병원의 종류별로 보면 대학병원 66곳, 협력병원 5곳, 종합병원 55곳, 공공병원 4곳, 국립병원 1곳, 위탁병원 1곳입니다. 다만 병원구분에서 대학병원, 협력병원, 위탁병원의 개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학병원은 국립대 병원과 사립대 부속병원만 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경우다. 대학이 외부병원과 교육협력을 맺는 경우에는 ‘교육협력병원’으로 구분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울산대와, 삼성서울병원은 성균관대와 협력관계인 대표적 협력병원입니다. 위탁병원은 외부병원이 운영을 대학병원에 위탁하는 식입니다. 서울시가 설립했지만 대학병원인 서울대병원이 운영하는 보라매병원이 대표적입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대학병원 순위는 의대 선택의 가장 중요한 잣대로 작용합니다. 의대 진학 후 3,4학년 때 대학병원이나 교육협력병원에서 실습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통상 병원 규모가 크고 의료의 질이 높을 경우 상대적으로 우수한 실습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커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상당수 의대 지망생이 대학병원 유무를 중시하는 이유입니다.






‘세계1위’ 메이오클리닉.. 클리블랜드클리닉 메사추세츠병원 톱3 ‘지난해와 동일’


올해 순위에선 미국 미네소타주 로체스터에 있는 사립병원인 메이오클리닉이 세계 최고 병원으로 꼽혔습니다. 이어 클리블랜드클리닉과 메사추세츠병원 순으로 지난해와 동일하게 부동의 톱3를 형성했습니다. 3개 병원 모두 미국 병원입니다. 이어 토론토종합병원(캐나다)이 4위로 지난해와 같습니다. 5위는 베를린대샤리테병원(독일)으로 지난해 6위에서 한 계단 올랐습니다. 반대로 존스홉킨스병원(미국)은 한 계단 내려서서 7위입니다. 7위로 파리 최대 국립병원인 피티에살페트리에르병원(프랑스)이 새롭게 순위에 올랐습니다. 8위 카롤린스카대학병원(스웨덴), 9위 로널드레이건UCLA메디컬센터(미국), 10위 셰바메디컬센터(이스라엘) 순으로 톱10을 형성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