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4년 제61회 변리사 2차 시험 결과가 드디어 발표되었습니다. 올해로 변리사 시험이 벌써 61회를 맞이했는데요, 1차 시험과 2차 시험으로 이루어진 변리사 시험은 면접을 따로 보지 않기에, 2차 시험 합격자 발표가 곧 최종 합격자 발표와 같습니다. 변리사를 준비하는 많은 수험생이 이 순간을 손꼽아 기다려왔을 텐데요, 이번 발표에서 공개된 합격률, 과목별 난이도 통계, 과락률 등 세부 정보를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2024년 제61회 변리사 2차 시험 기본 정보
2024년 제61회 변리사 2차 시험은 7월 26일과 27일, 서울에서 이틀간 진행되었습니다. 최종 합격자 발표는 10월 30일에 이루어졌고, 올해 최소선발인원은 200명이었습니다. 지난 제60회 변리사 시험에서는 최소선발인원보다 조금 더 많은 인원이 합격했으나, 이번 2024년 제61회 변리사 시험에서는 최소선발인원인 200명만 선발되며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2024년 변리사 시험 응시 및 합격 현황
2024년 제61회 변리사 2차 시험에는 총 1,219명이 시험을 보았고, 그 중 1,149명이 응시하며 응시율 94.2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3년 제60회 변리사 시험과 동일한 응시율입니다. 그중 최종 합격자는 200명으로, 합격률은 17.4%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18.72%보다 소폭 하락한 수치로, 시험의 난이도 상승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최근 변리사 시험 합격률 추이
- 대상자 수: 1,219명 (2023년 1,184명)
- 응시자 수: 1,149명 (2023년 1,116명)
- 응시율: 94.25% (2023년 94.25%)
- 합격자 수: 200명 (2023년 209명)
- 합격률: 17.40% (2023년 18.72%)
- 합격선: 55.22점 (2023년 54.33점)
필수과목: 특허법, 상표법, 민사소송법 난이도 분석
변리사 2차 시험의 필수과목은 특허법, 상표법, 민사소송법 세 과목입니다. 지난해 시험에서 세 과목 모두 고른 평균 점수를 기록하며 난이도의 편차가 크지 않았지만, 올해는 특허법의 난이도가 확연히 상승하여 평균 점수가 40점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 상표법과 민사소송법의 평균 점수가 지난해보다 상승한 것과 비교했을 때, 특허법은 유독 높은 난이도를 보였고, 수험생들의 부담이 컸던 과목이 되었습니다.
과락률 역시 특허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상표법과 민사소송법의 과락률이 하락한 것과 달리 특허법은 큰 폭으로 상승하여 수험생들에게 상당히 도전적인 과목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선택과목: 저작권법과 디자인보호법의 인기
변리사 2차 시험에서는 19개 선택과목 중 1개를 선택해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이번 시험에서도 수험생의 75% 이상이 저작권법과 디자인보호법을 선택하며 여전히 이 두 과목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저작권법과 디자인보호법을 선택한 수험생 수는 총 868명으로 확인됩니다. 반면, 산업디자인, 기계설계, 금속재료, 발효공학 등 일부 과목은 선택자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합격률로 살펴보면, 데이터구조론 과목의 합격률이 25%로 가장 높았고, 화학반응공학과 디자인보호법 과목도 높은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선택과목의 난이도와 수험생들의 전략적 선택이 합격률에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연령 및 성별 통계
2024년 제61회 변리사 시험 합격자의 연령 분포를 살펴보면, 20대 합격자가 158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30대 합격자는 41명으로 전체 합격자의 99%가 청년층에 속했습니다. 최연소 합격자는 2003년생으로 21세였고, 최고령 합격자는 1980년생으로 44세였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125명, 여성이 75명으로 여성 합격자의 비율은 약 37.5%로 지난해 41.1%에 비해 소폭 하락했습니다. 변리사 시험에서의 성별 비율은 여전히 남성의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여성 합격자의 비율 역시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올해 변리사 시험 결과 총평
올해 변리사 시험은 수험생들이 큰 기대와 부담 속에 임한 시험이었습니다. 지난해보다 약간 많은 인원이 응시했지만, 최종 합격자는 최소선발인원에 맞춰 200명에 그치며 합격률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특히, 필수과목 중 특허법의 높은 난이도로 인한 낮은 평균점수와 높은 과락률은 수험생들에게 큰 도전이었고, 선택과목에서도 저작권법과 디자인보호법에 대한 집중도가 여전히 높았습니다.
시험 준비 과정이 쉽지 않았을 수험생 여러분께 응원의 말씀을 전하며, 최종 합격하신 분들께 진심 어린 축하를 드립니다. 안타깝게도 불합격하신 분들께는 위로의 말씀을 전하며, 앞으로의 시험을 위해 힘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