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 중등 임용고시 일정과 준비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중등 임용고시는 교직의 꿈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관문입니다. 매년 수많은 수험생들이 이 시험에 도전하며, 철저한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2025년도 중등 임용고시 일정을 확실히 파악하고, 준비 계획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2025 초등임용 1차 합격자 발표 및 2차 시험 일정 정리 - DinoEdu

2025 초등임용 1차 합격자 발표 및 2차 시험 일정 정리

dinoedu.blogspot.com


 

2025 중등 임용고시 일정

중등 임용고시는 연 1회만 실시되는 시험으로, 1차 필기와 2차 실기·면접 평가로 나뉩니다. 아래는 2025년도 시험 일정입니다.

원서 접수 기간

  • 기간: 2024년 10월 14일 (월) ~ 10월 18일 (금) 오후 6시
  • 유의사항: 원서 접수는 반드시 마감 시간 내 완료해야 하며, 지원서 내용 확인 후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제1차 시험

  • 시험일: 2024년 11월 23일 (토)
  • 시험 구성: 교육학과 전공 A(교과교육학), 전공 B(교과내용학) 세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 합격자 발표: 2024년 12월 26일 (목) 오전 10시 예정

제2차 시험

  • 실기 시험 평가: 2025년 1월 15일 (수)
  • 수업 실연: 2025년 1월 21일 (화)
  • 교직적성심층면접: 2025년 1월 22일 (수)

최종 합격자 발표

  • 발표일: 2025년 2월 11일 (화) 예정

 

서울특별시교육청 합격자 발표

 

중등 임용고시 1차 시험 과목 및 시험 형태

중등 임용고시 1차 시험은 교육학 논술과 전공 A, 전공 B 세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아래는 각 과목의 시험 정보입니다.

  1. 교육학 논술
    • 시험 형태: 논술형 1문항
    • 시험 시간: 60분
    • 배점: 20점
    • 교육학 논술은 교사의 교육적 철학과 이해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시험입니다.
  2. 전공 A (교과교육학)
    • 시험 형태: 기입형 및 서술형 혼합
    • 시험 시간: 90분
    • 문항 수: 8~12문항
    • 배점: 40점
    • 전공 A에서는 해당 과목의 교육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교과 내용을 전달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3. 전공 B (교과내용학)
    • 시험 형태: 기입형 및 서술형 혼합
    • 시험 시간: 90분
    • 문항 수: 8~12문항
    • 배점: 40점
    • 전공 B는 교과 내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응용 능력을 평가하며, 이론과 실무를 모두 갖춘 교사로서의 자질을 검증합니다.

중등 임용고시 2차 시험 과목

2차 시험은 교사로서 필요한 실무 능력과 학생을 가르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합니다. 실기와 수업 실연, 면접으로 진행됩니다.

  1. 수업 실연
    • 설명: 실제 수업 상황을 가정하여 진행되며, 수업 계획과 학생과의 상호작용 능력을 평가합니다.
    • 준비 팁: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시간 배분과 질문 처리 능력 연습이 중요합니다.
  2. 교직적성심층면접
    • 설명: 교직에 대한 이해도와 교사로서의 자질, 교육 철학 등을 평가합니다.
    • 준비 팁: 자신의 교육적 신념과 철학을 명확히 정리하고, 예상 질문을 미리 연습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3. 실기 평가
    • 설명: 체육, 음악, 미술 등 실기 능력이 필요한 교과목의 경우 별도로 실기 평가를 진행합니다.
    • 준비 팁: 본인의 강점을 부각할 수 있도록 준비하며, 실전처럼 여러 번 연습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중등 임용고시 합격을 위한 공부법

임용고시 합격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공부 방법과 전략이 필수입니다. 각 과목의 특성에 맞춘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기출 문제 분석

과거 기출 문제를 철저히 분석해 자주 출제되는 유형과 핵심 개념을 파악하세요. 기출 문제는 시험의 출제 경향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전공 과목 심화 학습

전공 과목은 해당 분야의 깊이 있는 이론을 이해해야 합니다. 특히 전공 B의 경우, 응용 능력과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교육학 논술 준비

교육학 논술에서는 최근 교육 이슈와 관련된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최신 교육 관련 기사나 논문을 통해 다양한 주제를 접하고,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4. 2차 시험 대비 연습

실제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하듯 연습해 보세요. 시간 배분과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며, 자신만의 교육 철학을 정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중등 임용고시는 교직 진입의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각 과목별로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준비하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