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선물옵션, 주가 투자 국내 미국 만기일 네마녀의날
혹시 오늘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선물 옵션 동시 만기일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미국은 엊그제였는데요. 저도 가끔씩 듣는 말이지만 항상 헷갈리는 것이 선물과 옵션의 개념입니다. 이게 왜 만기가 된다는 건지 개념을 알지 못하면 항상 헷갈리실 겁니다. 오늘은 을 정의하고 만기일일 경우 주가는 어떻게 변동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물과 옵션에 대해서
선물이란?
선물이란 쉽게 이야기해서 물건을 먼저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미래의 가치를 예측해서 사는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옥수수 금액이 500원이라 가정해 보겠습니다. 구입자는 3개월 뒤 옥수수가 필요한데, 날씨와 수요를 고려해 보았을 때 가격이 상승하여 구입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래서 이미 옥수수 판매자에게 "이 옥수수 3개월 뒤 1,0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사겠습니다."라고 제안을 합니다.
판매자는 현재 금액이 500원이고 안정적인 공급을 진행할 수 있어 좋은 거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양쪽은 거래를 성사합니다. 이를 "선물 거래"라고 합니다. 3개월 뒤의 옥수수 금액을 알 수 없지만 구매자는 여러 가지 자신의 판단에 따라 미래의 가치에 배팅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여기서 판매되는 것은 옥수수로 표현하긴 했지만 은, 금 등의 귀금속도 가능하고 주식 또한 가능합니다.
옵션이란?
옵션은 선물과 성격은 비슷하지만 약간 차이점이 있습니다. 선물은 직접적으로 상품(기초자산)을 거래하는 반면에 옵션은 거래할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합니다. 또한 선물은 약속된 일자에 반드시 거래를 이행해야 하지만 옵션은 손해가 날것이라고 예상되면 그 권리를 미리 팔 수 있습니다.
그러면 무조건 선물보다 옵션이 좋은 거 아니야? 그렇습니다. 두 개의 금액이 같다면 중간에 마음대로 팔 수 있는 옵션이 훨씬 좋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 국가인 한국에서 무조건적으로 이익을 주지 않겠죠. 옵션을 그 권리를 살 때 권리금을 내야 합니다. 내가 현재 500원짜리 옥수수를 1,000원에 살 권리를 사는 대신 권리금으로 200원을 냅니다.
이 경우 세 가지의 손익 경우의 수가 존재합니다.
① 옥수수 금액이 700원인 경우
옥수수를 1,000원에 살 권리를 권리금 200원을 주고 구매한 사람은 더 이상 이 권리를 유지할 필요성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지금 구매해도 700원에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구매자는 이 권리를 포기합니다. 그리고 판매자는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합니다. 결정권이 없습니다. 하지만, 물건을 팔지 않았어도 200원 만큼의 수익을 얻었으니 괜찮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을 풋옵션이라고 합니다.
② 옥수수 금액이 1,000원인 경우
옥수수를 1,000원에 살 권리를 산 사람은 해당 권리를 이행합니다. 하지만 권리금 만큼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 이 권리가 없어도 1,000원에 살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판매자는 원래 1,000원에 팔 수 있는 옥수수를 제값에도 팔고, 권리금 200원도 챙겼습니다. 이 경우는 권리 구매자가 콜 옵션을 행사했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③ 옥수수 금액이 1,500원인 경우
이 경우는 구매자가 1,000원에 살 권리를 200원 주고 사도 300원이 남습니다. 즉, 300원의 이익을 창출해 냈습니다.
판매자는 원래 1,500원에 팔 수 있었지만 이를 1,000원에 팔았으므로 손해를 보았습니다. 하지만 권리금만큼 손해가 보상되었습니다. 이 경우도 권리 구매자가 콜 옵션을 행사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익을 창출해 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선물과 옵션 만기일
국내 선물 만기일은 분기별 1회이며, 분기 둘째 주 목요일에 해당됩니다. 국내 옵션 만기일은 매달 1회이며, 매달 둘째 주 목요일에 해당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1년에 4번 만기일이 겹치는 날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만기일에 저희와 같은 슈퍼 개미들은 잠깐 매매를 멈추라고 하죠 왜 그런 걸까요? 만기일이 다가오면 다음과 같은 선택을 하게 됩니다.
① 실제로 선물을 구입하거나
② 만기일 연장 (롤오버)
③ 청산 (주식의 경우 매매)
을 하게 됩니다.
보통 대량으로 선물주식을 구매하는 증권사나 큰손들은 이익이 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매매가 되게 프로그램을 짜놓습니다. 즉, 대량 청산 매도가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그렇기에 갑자기 만기일에 알 수 없는 매도 물량이 쏟아지게 되고 주가가 급락할 수도 있게 되어 우리와 같은 개미들이 대응할 수 없게 됩니다. 이 때문에 만기일에 주식을 매매하지 말라고 하는 이유입니다.
미국 주식도 동일하게 이 두날의 만기일이 겹치는 날이 존재합니다. 국내는 목요일이고 미국은 금요일입니다. 그리고 재밌는 게, 이날을 "네 마녀의 날"이라고 칭합니다. 그 이유는 마녀(선물/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이 심술(주가 변동을 심하게 일으키는)을 부리는 날이라고 합니다.
① 선물과 옵션의 만기일에는 주식시장에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가급적 매매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② 선물과 옵션은 미래의 가치를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지식이 없다면 가급적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원유 선물에 잘못하다가 우리 집에 원유가 배달되어 올 수도? 있습니다.
③ 파생상품은 금융기업들이 만든 지옥 상품이라고도 하죠. 파생상품을 투자할 때는 항상 조심 또 조심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