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MALL


2023수능 2교시 수학영역 출제 난이도


공통과목 각11문항, 선택과목 각8문항
2023수능 수학영역은 어떻게 출제됐을까. 17일 수능 출제본부에 의하면 공통과목인 ‘수학Ⅰ’ ‘수학Ⅱ’는 각 11문항 출제됐고, 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는 각 8문항 출제됐습니다.

2023수능 수학영역 공통과목

수학Ⅰ에서는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이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1번),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11번),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15번)을 출제했습니다.

수학Ⅱ에서는 함수의 극한의 뜻과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14번),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과 평균값의 정리를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2번),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10번)을 출제했습니다.


수학영역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에서는 중복조합을 이해하고 중복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는 지를 묻는 문항(30번), 여사건의 확률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5번), 모평균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7번) 등을 출제했습니다.

‘미적분’에서는 등비급수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7번), 삼각함수의 극한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8번),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6번) 등을 출제했습니다.

‘기하’에서는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5번),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해 직선과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26번), 정사영의 뜻을 알고 이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30번) 등을 출제했습니다.

수학영역은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의 기본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 수학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기본 계산 원리 및 전형적인 문제 풀이 절차인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 규칙과 패턴 및 원리를 발견하고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출제했습니다. 두 가지 이상의 수학 개념, 원리, 법칙을 종합적으로 적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과 실생활 맥락에서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 등을 적용해 해결하는 문항도 출제했습니다.


2023수학영역시험지.pdf
1.01MB



2023수능 수학영역 평가 목표는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해 설정했습니다.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해 고교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했습니다. 고등학교까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해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복잡한 계산을 지양하고,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보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개념에 대한 충실한 이해와 종합적인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