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MALL


오늘은 증여세란 무엇인지, 그리고 증여세를 정확하면서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과 주의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증여세란 무엇인가


우선 '증여'의 개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증여란 현금이나 부동산 등 자신의 재산을 타인에게 대가 없이 양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증여를 하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부과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세금은 재산을 받는 사람이 내는 것입니다. 만약 경제력이 전혀 없는 자녀나 취준생이 증여를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 그 증여세를 부모가 대신 납부한다고 하더라도, 증여세를 대신 납부한 부분에 대한 세금이 다시 부과된다는 점도 꼭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증여세 부담 커지는 경우 주의할점

또한 증여세의 부담이 더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무서의 조사를 받은 뒤 증여세를 납부하는 경우에는 가산세까지 더해져 납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경제력이 없는 사람이 현금으로 재산을 양도받는 경우에는 증여받은 돈으로 증여세를 납부할 수 있겠지만, 주식 또는 부동산과 같은 비현금성 재물을 증여받는 경우에는 증여세를 납부할 수 있는 재원을 미리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증여세를 납부할 수 있는 현금은 적게 주거나 혹은 많이 주어도 안 됩니다. 그 이유로 적게 주었을 경우에는 증여세를 납부할 재원을 새로 구해야 하며 증여세를 대납한 것과 관련된 가산세가 더해져 추징금을 물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납부할 증여세보다 더 많은 현금을 줄 경우에는 당연히 증여세의 부담이 더욱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증여세는 사람의 사망에 따라 자연스럽게 재산이 양도되는 상속과는 비교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증여와 상속을 비교하자면 재산을 양도한 사람의 생사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증여세 계산방법

증여세= 증여금액 x 세율 - 누진공제액

기본적인 계산 공식은 이렇습니다. 하지만 본인에게 맞는 세율을 알아보고 누진공제액이 무엇인지 검색하는 과정이 번거롭다고 느끼시는 분도 계실 겁니다. 그러한 분들에게는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는 증여세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편하게 세액 계산을 하실 수 있습니다. 홈택스 홈페이지 - 우측 하단 메뉴에서 세금 모의계산 클릭 - 증여세 자동계산 선택 - 간편 계산을 통해 예상 증여세액 계산하기 이 방법을 통해 계산하시면 세무 지식을 공부하지 않더라도 쉽게 찾을 수 있겠습니다.

 

 

 

증여세 신고하기


증여세는 납부도 중요하지만, 정해진 기간 안에 신고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신고 기한은 재산을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로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 8월 11일에 증여를 받았다고 가정했을 때, 2022년 11월 30일까지 증여세 신고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증여했던 시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이체 내역과 같은 증여 시점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찾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가능한 한 빨리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확하게 증여세 신고를 해 놓으면 과세 당국과의 분쟁의 여지도 훨씬 줄어들게 됩니다. 반면에 납부할 세액이 있는데도 증여세 신고를 누락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신고불성실 가산세가 더해져 납부 세액의 20~40%의 추징금이 더해지니 꼭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증여세의 정의, 계산법, 주의점까지 알아봤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