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MALL


내일 올리면 사상 첫 4회 연속 인상하게 됩니다. 물가 전망은 5%대로 상향 예상 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는 2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더 올릴 것으로 예상 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6% 넘게 치솟은 소비자물가가 아직 정점을 지났다고 확신하기 어렵고 미국의 기준금리(정책금리)가 이미 우리보다 높아진 상태에서 격차가 더 벌어지면 물가·환율 등에 불리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물가뿐 아니라 경기 침체 우려도 함께 커진 만큼 한은이 무리하게 두 달 연속 빅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으로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입니다.

 

 

경기침체 우려 등에 빅 스텝 가능성 작 베이비스텝 0.25 예상


24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은 금통위의 역대 첫 4회 연속(4·5·7·8월) 기준금리 인상을 점치고 있습니다. 추가 인상 전망의 가장 중요한 근거는 여전히 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 때문 입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108.74)는 외식·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3% 뛰었는데, 이는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향후 1년의 예상 물가 상승률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이달 4.3%로 역대 최고였던 7월(4.7%)보다는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4%대를 웃돌고 있습니다. 물가뿐 아니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역전' 상태도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준 자이언트 스텝으로 한국보다 2.25% 높아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은 뒤 미국의 기준금리(2.25∼2.50%)는 한국(2.25%)보다 높아졌습니다.


 

미국 연준 또 0.75%p 인상 자이언트 스텝 한-미 기준금리 역전

미국 연준 최초 2번 연속 0.75%p 인상 자이언트 스텝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에 맞서기 위해 지난달에 이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또 밟았습니다. 연준

how-math.tistory.com



한국은행으로서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격차를 좁혀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화 약세, 환율 변화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등의 위험을 최대한 줄일 수밖에 없는 처지입니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최근 다시 불안한 흐름을 보여, 한은 입장에서는 환율 방어 차원에서라도 기준금리를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연준의 7월 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 통화 긴축 의지가 다시 확인된 이후 원/달러 환율은 급등하기 시작해 지난 23일 1,345.5원에 이르렀습니다. 2009년 4월 29일(고가 기준 1,357.5원) 이후 약 13년 4개월 만에 최고 기록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불안한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금통위가 7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빅 스텝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금융투자협회의 채권 보유·운용 종사자 100명 대상 설문 조사에서도 97%가 인상을 전망했고, 이들 가운데 91%는 예상 인상폭으로 0.25%포인트를 제시했습니다.

 

 

올해 물가상승률 24년만에 5%이상 예상 유가 떨어져도 서비스 물가 등 높아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25일 한국은행은 수정 경제전망도 내놓았습다. 대부분의 전문가는 한국은행이 현재 4.5%인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대까지 높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실제로 올해 5%대 상승률이 현실로 나타나면,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최고 기록입니다. 반대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경우 2.7%에서 2%대 초중반으로 하향 조정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