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MALL



여권이 ‘이준석 소용돌이’에 빠졌다. ‘당 대표’ 지위를 상실한 이준석 전 대표가 윤핵관들에 전면전을 선포하고 차기 당권 주자들이 ‘이준석 때리기’에 열을 올리면서 온라인 상의 존재감은 윤석열 대통령을 뛰어넘었습니다. 국민의힘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며 ‘이준석 지우기’에 나섰지만 여론의 관심은 되레 이 전 대표에게 쏠리고 있습니다.

 

 



18일 포털사이트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5월 10~8월 17일, 100일 간 윤 대통령과 이 전 대표의 검색량 추이를 비교한 이 전 대표의 평균 검색량 지수는 10.5를 기록해 윤 대통령(검색량 지수 10.0)을 압도했습니다. 특히 ‘새 정부 출범 100일 기자회견’으로 대대적인 언론의 조명이 쏟아졌던 17일에도 윤 대통령의 검색량은 8.8, 이 전 대표(26.2)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17일 이 전 대표는 법원 심리에 출석해 가처분 인용 총력전을 펼쳤습니다. 네이버 데이터랩은 특정 기간의 최대 검색량을 100으로 잡고 기간 내 상대적인 검색량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포털사이트 DAUM 다음의 검색량 추이를 보여주는 ‘카카오 데이터트렌드’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관찰됐습니다. 해당 기간 이 전 대표와 윤 대통령의 평균 검색량은 각각 11, 8을 기록했습니다. 윤 대통령 지지세가 강한 중·장년층에서도 윤석열 대통령보다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관심이 우세했습니다. 60대 이상의 평균 검색량은 윤석열 대통령 27, 이준석 전 대표 17이었습니다.

 

 

 

 



이준석 전 대표는 13일 기자회견 이후 윤석열 대통령 및 친윤계 인사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쏟아내며 스포트라이트를 자청하고 있습니다. 당 내 설 자리를 잃은 이준석 대표는 ‘반윤 선두주자’ 정체성으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듯 윤핵관들을 향해 연일 독한 말을 내뱉고 있습니다. 이날에도 “(윤 대통령에게) 국민도 속도 저도 속은 것 같다”, “윤핵관들 이런 사람들은 대통령의 의중을 파악한 건지, 지령을 받았는지 모르겠지만 정치 공작설에 가까운 행동들을 하고 있었다”고 쏘아붙였습니다.

차기 당권 주자들의 ‘이준석 때리기’도 주목도를 높이는 데 한 몫 했습니다. 나경원 전 원내대표는 “이 전 대표가 하는 모습은 본인에게도 자해 행위”라고 직격탄을 날렸고, 안철수 의원은 이 전 대표가 띄운 ‘혁신위원회 해체’를 주장하며 이 전 대표에 대한 관심을 부추겼습니다.

화려한 언변과 여론전과 언론에 능한 이준석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주목도를 의도적으로 분산시켰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이준석 전 대표는 지난 13일 36일 만에 공개 석상에 나선 배경을 두고 “집중호우를 피한 것”라고 설명했지만, 15일과 17일은 각각 ‘윤 대통령의 광복절 축사’와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었습니다. 15일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축사를 2시간 가량 앞두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높은 수위의 공세를 펼치면서 윤 대통령이 상대적으로 묻히는 효과를 낳기도 했습니다.

 

 

 

 

 

 



최근 차기 당대표 여론조사에서 이 전 대표가 선두권에 오르고 윤핵관들에 대한 민심이 곱지 못한 상황에서 이 전 대표가 차기 전당대회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여당의 한 중진 의원은 “전당대회에 이 전 대표가 직접 출사표를 던지긴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반윤 민심을 업은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가처분 신청이 기각될 경우 이 전 대표가 무리한 여론전을 펼친다는 비판에 직면하며 주목 또한 시들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실제 장예찬 청년재단이사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동력 상실의 주된 요인으로 이 전 대표를 지목하며 청년 당원 모두가 이 전 대표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고 꼬집었습니다. 여당의 한 초선 의원은 “이 전 대표의 복귀 가능성이 살아있어 언론의 관심을 받고 당내 옹호 세력도 있는 것”이라며 법적 공방 종료와 함께 여론적 관심도 해소될 것이라고 예견했습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