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상 - 삼차방정식, 사차방정식 / 삼차방정식 근과 계수와의 관계 삼차방정식이나 사차방정식일 때는 인수분해를 바로 못하니까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해줍니다. 복이차 방정식 형태는 치환을 해서 풀면 됩니다. 그리고 완전 제곱식 만들어서 합차공식을 이용해서 인수분해 하는 것도 있고요.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입니다. 4차 이상의 방정식에서도 모든 근의 합이나 곱을 구할 수 있습니다. 대신에 문제에서 6차 방정식이 나왔는데 실근의 합 구하시오라고 나오면 저공식을 쓰면 안됩니다. 저건 허근도 포함해서 더했을 때 입니다. 삼차방정식을 만들라고 하는 문제도 근과계수와의 관계를 이용해서 각 계수들을 구하면 됩니다. 켤레근이 나왔을 때 풀이를 설명 했습니다.
[모의고사유형] 수학 이차방정식, 복소수 배운 후 오메가에 대해서.. 허근(오메가로 표현) 어려운 문제 (근과 계수와의 관계, 근의 공식 이용) [모의고사유형] 수학 이차방정식, 복소수 배운 후 오메가에 대해서.. 허근(오메가로 표현) 어려운 문제 (근과 계수와의 관계, 근의 공식 이용) 고1 때 나오는 유형입니다.내신에서 어려운 문제나올 때 가끔 오메가 기호를 볼 수 있고고1 모의고사 때 가끔 나옵니다. 딱보고 어려워하고 자주 나오진 않기 때문에 외우지도 못하겠고 해서...근과 계수와의 관계와 근의 공식은 외워야하는 식들이니까 그걸 이용해서 풀면 외우지 않고도 기억 할 수 있습니다. [모의고사유형] 수학 이차방정식, 복소수 배운 후 오메가에 대해서.. 허근(오메가로 표현) 어려운 문제 (근과 계수와의 ..